Social Security vs SSI 차이를 쉽게 정리했어요.

햇살 아래 미니멀한 인테리어 테이블 장면

비슷한 고민이 있다면 꼭 읽어보세요:

“소셜 시큐리티는 받는데 SSI는 왜 안 되죠?”
“어르신이 미국 오래 사셨는데도 생활보조금이 안 나온대요.”
혹시 Social SecuritySSI(생활보조금)의 차이를 정확히 모르셨던 건 아닐까요?

두 제도는 이름이 비슷하지만, 전혀 다른 기준으로 운영됩니다.
2025년 기준으로 가장 자주 물어보는 궁금증을 예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.

⛑ 복잡한 제도 없이, 실제 사례 중심으로 쉽게 풀어드릴게요. 걱정 마시고 따라오세요!

1️⃣ 두 제도의 기본 차이


📌 어떤 차이가 있나요?

  • Social Security: 본인이 납부한 세금에 따라 "퇴직 후 받는 연금"
  • SSI: 소득과 자산이 적은 저소득층에게 제공되는 "생활보조금"

🔎 한 줄 요약

  • Social Security = 기여형 
  • SSI = 복지형
항목Social SecuritySSI (Supplemental Security Income)
목적일한 사람에게 주는 퇴직 연금저소득층에게 주는 생활 보조금
재원본인이 낸 세금으로 적립**일반 세금(소득세)**에서 지급
자격 조건일정 기간 이상 근로 경력 필요소득과 자산이 적은 사람 대상
수령 가능 나이보통 62세 이상65세 이상 또는 장애인
중복 수령✅ 가능 (조건 충족 시)✅ 가능 (Social Security 수령액 낮을 경우 보조금 형태로)

💬 가족 간 공유 팁:
“SSI는 내가 세금 낸 건 아니지만, 생활이 어려우면 받을 수 있는 제도래요.”

2️⃣ Social Security 자격 조건


📌 주요 조건은?

  • 10년 이상 근무 기록 (40 크레딧)
         1년에 최대 4크레딧 쌓을 수 있고, 2025년 기준 $1,730 이상 소득이 있으면 1크레딧 인정
          → 즉, 연 $6,920 이상 벌면 4크레딧 채움
  • 퇴직 나이 도달 (예: 66~67세)

🔍 미국에서의 근로 이력이 핵심

  • 시민권이 아니어도영주권자 + 유효한 소셜번호 + 근로 경력이 있다면 자격 가능

⛔ 이런 경우는 불가

  • 현금으로만 일하고 세금 신고 안 한 경우 → 크레딧 인정되지 않음

  • 불법체류자, 세금 기록 없는 외국인은 대상 아님

💬 가족 간 공유 팁:
“아버지는 크레딧이 부족해서 Social Security는 못 받는대요. 대신 SSI 가능할지도 몰라요.”

3️⃣ SSI 자격 조건


※ 이 포스팅에는 Amazon 어필리에이트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,
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하실 경우 소정의 커미션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.

📌 SSI는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
💰 소득/자산 기준

  • 개인 기준 자산 $2,000 이하, 부부는 $3,000 이하

  • 집 한 채, 타고 다니는 차 1대는 예외(비과세 자산)

👤 나이 또는 장애 조건

  • 65세 이상, 또는

  • 심각한 장애가 있고 근로 능력 없음으로 판단되는 경우

🛂 이민자 자격 조건

  • 시민권자 우선 대상

  • 영주권자도 가능하지만 조건이 있음:

    • 아래 중 하나 이상 충족해야

      1. 40 크레딧(약 10년 근로 기록) 있는 경우

      2. 군 복무 경력이 있는 경우

      3. 난민, 망명자 등 특별 보호 대상자

      4. 영주권 취득 후 5년 이상 거주 + 일정 조건 충족

🕓 미국 거주 요건

  • 현재 미국에 거주 중이어야 하며,

  • 일정 기간(보통 5년 이상) 미국 내 합법 체류 이력이 있어야 수급 가능

💬 가족 간 공유 팁:
“시민권 없이도 SSI 받으려면 특정 조건이 필요한데, 이건 SSA에 꼭 확인해보자.”

4️⃣ 지급 금액과 방식의 차이


📌 얼마나 받고, 어떻게 받나요?

  • Social Security: 본인 소득 이력 따라 다름 (월 평균 $1,800 전후)
  • SSI: 주 정부 보조 포함 시 약 $900~$1,200 수준

🔎 SSA에서 한 통장으로 지급됨

  • 중복 수급 시, SSI 금액이 조정될 수 있음

5️⃣ 중복 수령 가능한가요?


📌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요?

네, 가능하지만 조건 있음
👉 Social Security 연금이 매우 적거나 생활이 어려운 경우,
👉 SSI로 차액만큼 추가 지원 받을 수 있어요
(예: 월 연금 $400 → SSI로 최대 $543 추가 가능)

💬 가족 간 공유 팁:
“엄마가 Social Security만 받는데 너무 적대요. SSI도 같이 신청해보자.”

6️⃣ 한인 시니어 실제 사례

📌 이런 경우 많아요

“남편은 Social Security, 나는 SSI만 받아요.”
“크레딧 부족해도 SSI 받을 수 있어요.”


🔎 Social Security는 근로 이력, SSI는 소득·자산·체류 조건이 핵심이에요. 

시민권자 또는 조건 충족한 영주권자만 가능하고, 현재 미국 거주 중이어야 해요.

7️⃣ 신청 방법과 주의사항


📌 어디서 신청하나요?

  • SSI: 직접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가능

💡 준비 서류

  • 영주권/시민권 증명, 주소, 소득·자산 내역

🧠 자주 묻는 질문 Q&A

Q1. SSI는 Social Security 없이도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 소득과 자산이 적다면 가능합니다.

Q2. SSI는 시민권 없어도 받을 수 있나요?
A. 특정 조건의 영주권자는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어렵습니다.

Q3. 둘 다 신청 가능한가요?
A. 가능합니다. 단, 중복 시 SSI 금액이 줄어듭니다.

📝 마무리하며

Social Security와 SSI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기준과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.

두 제도 모두 노후 준비에 중요한 혜택이므로, 자격 여부를 잘 따져보고 놓치지 마세요.

👣 지금 바로 할 수 있는 한 가지: SSA 공식 사이트에서 본인에게 해당되는 혜택을 조회해보세요.

📌 관련 글 더 보기

🏷 관련 태그

#SocialSecurity #SSI #2025복지정책 #한인시니어혜택 #미국노후준비 #은퇴플랜

※ 이 포스팅에는 Amazon 어필리에이트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,
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하실 경우 소정의 커미션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.
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, 브라우저에 즐겨찾기(북마크) 해두세요!
"은퇴만렙 블로그"는 매주 새로운 꿀팁을 공유합니다 :)

댓글